논문 심사 기준(국제 경제학 전공)
논문 심사 기준
【석사 학위 신청 논문 심사 기준】
(1) 수론 연구
・과제 설정의 적절성: 연구 과제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고, 왜 그 연구 과제가 중요한지, 선행 연구와의 위치를 근거로 명시되어 있는 것.
· 연구방법의 타당성: 설정된 연구방법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하다.
・논리의 일관성: 과제에 대한 결론을 이끄는 과정에서의 논리가 일관하고 있는 것.
・연구윤리의 준수:연구윤리를 배려해, 인용・참조등의 룰을 지키고 있는 것.
(2) 과제 연구
・조사 연구 보고서의 내용이 학위에 적합한 이수의 확산을 반영하고 있는 것.
・설정된 과제에 당분야에 있어서의 모아적, 문제발견적인 가치가 인정되는 것.
・장래, 해당 분야에 있어서 학술, 업무, 그 외의 활동의 발전에 기여할 것을 기대할 수 있는 것.
・연구윤리에 배려해, 인용・참조 등의 룰을 지키고 있는 것.
【박사 학위 신청 논문 심사 기준】
학위 수여에 관해서는 학위신청자가 제출한 박사논문을 연구지도위원회의 위원 5명이 심사를 실시하여 학위수여 여부를 결정한다. 논문 중간보고, 박사논문 최종보고 및 박사논문 최종심사가 되고 있다. 그 심사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테마의 적합성: 적절한 연구 과제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
2. 정보 수집의 정도: 선행 연구에 대한 충분한 지견을 가지고, 입론에 필요한 데이터나 자료 수집이 적절하고 충분히 행해지고 있는 것. 방법, 기술 통계 및 개별 데이터의 정의 등을 설명하고있다.
3. 연구방법의 타당성: 설정된 경제모델과 계량모델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하다. 점을 가지고 있으며, 학술적인 공헌이 인정되는 것.
4. 논리 전개의 타당성 : 과제에 대한 결론을 이끄는 과정에서의 논리가 일관되고 있는 것.
5. 논문의 구성: 깔끔한 표현으로 논문이 작성되어 있어 「서론」 「본론」 「결론」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 각 구성 부분이 유기적인 연결을 가지고 구조가 되어 있다 일. 또한, 인용, 주석, 도표 등의 체재가 갖추어져 있는 것.
6.기타:관찰되는 사실이나 타인의 주장과 자신의 주장을 구별하여 쓰여져 있어 사실이나 타인의 주장을 참고하거나 인용했을 때는, 그 정보원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본문 중에서 인용, 참고로 한 논문을 문헌 리스트에 기재하고 있는 것.
윤리적 고려
석사과정, 박사후기과정 모두 논문의 내용에 따라서는 연구계획의 입안, 수행, 연구성과의 발표, 데이터의 보관 및 공개에 관하여 윤리적인 배려가 적절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